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6개월 전 김포골드라인에서 출근길 호흡곤란으로 쓰러지는 승객 소식 전해드렸었는데요. <br> <br>그 이후로 전세버스도 투입되고 버스 전용차로도 생겼는데 골드라인 이름은 되찾았을까요? <br> <br>이솔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열차 문이 열리자 승객들이 파도처럼 밀려나 옵니다. <br> <br>한 여성 승객이 곧장 의자로 걸어가 쓰러지듯 주저앉자 의료진이 급하게 다가가 상태를 살핍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산소통 드릴게요. (네) 들이쉬었다, 내쉬었다." <br> <br>김포골드라인으로 출퇴근하는 30대 유보미 씨. <br> <br>이런 일이 처음은 아닙니다. <br> <br>[유보미 / 경기 김포시] <br>"사람이 너무 많고 좁혀져 있으니까 그러더라고요. 어지럽고 토할 거 같았어요." <br> <br>결국, 최근 심혈관 질환 진단까지 받았습니다. <br> <br>[유보미 / 경기 김포시] <br>"원래 이런 증상은 없었어요. 골드라인 탈 때 이렇게 돼서 병원에다 얘기하니까 심혈관 질환 약을 주셨어요. (열차 때문에 어떻게 보면 지병까지?) 그러네요." <br> <br>취재진이 지켜본 평일 출근시간대 2시간 동안, 김포골드라인 김포공항역에서만 8명이 호흡곤란을 호소했습니다. <br><br>매일 반복되는 상황에 혼잡도가 높은 고촌, 김포공항역에는 지난 6월부터 사설 응급구조 인력까지 배치됐습니다. <br><br>김포시는 열차 내 혼잡도를 낮추겠다며 지난 4월 전세버스 투입과 버스전용차로 개설 등 대책을 내놨지만, 반년이 지난 지금 골드라인은 여전히 '지옥철'로 달라진 건 없습니다. <br> <br>[A씨 / 김포골드라인 승객] <br>"(타보시니까 요즘은 어떠세요?) 더 심해진 것 같아요." <br> <br>[B씨 / 김포골드라인 승객] <br>"서울 가는 버스 생기고 그러면서 조금 나아진 것 같은데 요새 또 다시 많아지는 것 같아요." <br> <br>왜 그런지 풍무역에서 김포공항역까지 골드라인, 전세버스와 자가용 각각의 소요시간을 비교해봤습니다. <br><br>골드라인을 타면 열차 한 대를 그냥 보내고도 16분이면 목적지에 도착하지만, 버스전용차로로 달린 전세버스는 20분, 일반 승용차는 32분이 걸렸습니다. <br><br>전세버스는 골드라인과 4분 정도 차이 나는데 정작 좌석은 2/3가 비어 있습니다. <br> <br>시민들이 편하게 앉아가는 버스보다 콩나물시루 골드라인을 더 선호하는 겁니다. <br> <br>[정의철 / 골드라인 승객] <br>"제시간에 오니까 지하철이 더 (낫죠). 좀 힘들더라도." <br> <br>[C 씨 / 골드라인 승객] <br>"김포공항에서 일이 끝나는 게 아니고 결국은 다른 지하철을 타야 되니까. 지하철과 지하철이 연결되는 게 빠르잖아요. 버스는 또 (역으로) 내려가야 되니까." <br> <br>최근엔 검단신도시 신규 입주로 도로 정체가 심해진 것도 한몫합니다. <br> <br>[B씨 / 김포골드라인 열차 승객] <br>"요새 차가 너무 막혀요. 검단 신도시 생기고 나서부터 서울로 나가는 차가 너무 막혀서 지하철을 타는 게 훨씬 빠르기는 해요." <br> <br>돌고돌아 해법은 지하철뿐입니다. <br> <br>[김도경 /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교수] <br>"결국은 (서울 지하철을) 김포까지 연장을 하지 않는 이상은 사실은 김포골드라인에 비해 경쟁력을 갖고 있는 대안 수단이라고 하는 건 없는 것 같아요." <br> <br>하지만 김포와 인천시 힘겨루기로 서울 5호선 연장도 언제 될지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. <br> <br>다시간다 이솔입니다. <br> <br>PD : 홍주형 윤순용 <br>AD : 김승규 <br>작가 : 김예솔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